카테고리 없음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 차이점 및 채용직렬!

dada10 2025. 2. 4. 23:01

<목차>

1. 국가직 공무원, 지방직 공무원 차이점

2. 국가직, 지방직 채용 직렬

3. 지방직 공무원 거주지 제한 요건

4. 자주묻는 질문, 시험공고/ 공지사항, 원서접수 홈페이지 정리!

 

1. 국가직 공무원, 지방직 공무원 차이점은?

국가직 공무원은 기획재정부, 정부청사, 고용노동부 등 행적기관의 주요부서에 배치되어 근무합니다!

 

보통 전국 순환 근무를 주기적으로 하여 새롭게 변화는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어려운 분들은 적합하지 않아요.

지방직공무원은 거주지 제한 요건을 충족해야 시험 응시가 가능하죠. 

국가직 공무원은 거주지 제한 없이 국가 내 주요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지방지공무원보다는 민원인을 직접 상대하는 경우가 적어요.

 

지방직 공무원은 주로 시청이나, 구정에서 근무합니다!

 

국가직에 비해 민원 업무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해요. 민원을 직접 받아야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겠죠.

지방직 공무원은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채용을 진행하여 시험 응시를 위해 거주지 제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지방직은 시험보기 위해 선택한 지역에서 계속 근무가 가능해요.

거주지 이전을 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고 순환 근무에 부담이 없어요. 

 

 

2. 국가직/ 지방직 채용 직렬

국가직과 지방직 시험에서 채용하는 직렬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국가직에서 채용하는 직렬, 지방직에서 채용하는 직렬을 미리 파악해보는 것도 좋겠죠?

 

☞국가직으로만 채용하는 직렬

고용노동직, 관세직, 통계직, 교정직, 출입국관리직 등의 직렬은 국가직 시험을 통해서 채용한다고 합니다!

 

☞지방직으로만 채용하는 직렬

사회복지직, 간호직, 운전직, 방호직, 보건직 등이 있습니다!

 

 

3. 지방직 공무원  거주지 제한 요건

① 시험시행 연도의 1월 1일 이전부터 최종 시험 시행 예정일까지 계속해서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둬야함.

② 시험시행 연도의 1월 1일 이번부터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둔 기간이 총 3년 이상일 것

 

위에 두 가지 요건 중 한 가지 이상 충족해야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서울시와 대구시 지방직 시험은 거주지 제한 요건이 폐지되어 충족할 필요가 없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공무원 준비를 하고 있는 데 정보를 찾기 어려워 고민이신분들! 

QA : 시험공고는 어디서 찾지? 공지사항은?

QA : 시험 응시원서 접수 현황을 어디서 볼까?

바로 아래 홈페이지 주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사혁신처 사이버 국가고시센터, 지방자치단체 인터넷 원서접수센터, 서울시 인재개발원 

★ 국가직공무원 시험공고/ 공지사항, 원서접수

인사혁신처 사이버 국가고시센터

(https://www.gosi.kr/)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메인

가치있는 삶의 시작!

www.gosi.kr

 

★ 지방직공무원 시험공고/ 공지사항, 원서접수 지방자치단체 인터넷 원서접수센터(https://local.gosi.go.kr/klid/sihum/examNewNotice.do)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 접수센터 - 최근소식 리스트

메뉴이동 최근소식 시험공고 합격 및 면접 시험장소 시험통계 시험문제 및 정답 홈 시험시행정보 최근소식 최근소식 최근소식 게시판 최근소식 목록 : 게시판 목록으로 번호, 구분, 시행기관,

local.gosi.go.kr

→ 지방직 시험공고는 반드시 해당 시도 홈페이지에서 공고문 확인해야합니다! 

ex) 서울특별시는 서울시 인재개발원에서 공무원 채용 안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s://hrd.seoul.go.kr/portal/recruitment/infoApexAction.do)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

시험안내 응시연령(2025년도 기준) 응시연령 목록 직급 연령 기준연령(2025년도 기준) 7급, 연구사, 지도사, 8급, 9급 18세 이상 2007.12.31 이전 출생자 [직급] 7급, 연구사, 지도사, 8급, 9급 응시연령 18

hrd.seoul.go.kr